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전기차 보조금을 활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됩니다.
2025년에는 국고 보조금과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이 일부 조정되었으니 꼭 확인하셔서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또한 차량 가격과 성능에 따라 지원금이 차등 지급되고, 전기차 구매 시 다양한 세금 혜택과 충전 인프라 지원이 제공되니 이를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기차 구매시 지원 대상 차량, 정부 보조금 (국고 및 지자체), 신청방법 및 절차, 세금 혜택과 기타 혜택까지 모두 알아보셔서 잊지 말고 혜택을 챙기시기 바랍니다.
목차
-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
- 전기차 보조금 -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
-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 및 절차
- 지자체 보조금 문의처 및 지자체 차종별 보조금 조회
- 전기차 세금 및 기타 혜택 정리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
개인, 법인,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지방공기업 등(중앙행정기관 제외)이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원 대상 자동차를 신규구매하여 국내에 신규등록하는경우에 대해 보조금 지원을 합니다.
하지만 자동차 등록말소 이력이 있는 차량은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니 참고하셔서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성능 기준에 따라서 보조금 혜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로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 속도가 빠른 차량일수록 배터리에 성능에 따라 보조금 혜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기차 구매 전 차량 가격과 성능을 미리 확인하여 보조금 지원 여부와 금액을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기차 보조금 -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
국고 보조금
자동차 성능, 저공해차보급목표 달성실적, 가격인하 여부 등을 고려하여 중*대형 : 최대 580만원,소형 : 최대 530만원
범위 내에서 차등 지원하며, 세부 보조금은 산출하여 지원합니다.
○ 차량 가격 기준
5,300만원 미만 차량 : 보조금 100% 지원
5,300만원 ~ 8,500만원 차량 : 보조금 50% 지원
8,500만원 초과차량 : 보조금 미지원
○ 성능 보조금
성능보조금은 소형 이하는 최대 250만원, 중형 이상은 최대 300만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소형 이하 : 연비보조금 125만원 + 주행거리보조금 125만원
중형 이상 : 연비보조금 150만원 + 주행거리보조금 150만원
○ 배터리안전보조금
배터리 안전기능을 도입하여 화재 발생가능성을 낮추는 등 안전관리가 용이한 차량에 대해 배터리안전보조금 최대 50만원 지원합니다.
- 차량정보 수집장치 장착 차량 : 20만원 지원
- 급속/완속충전 중 충전커넥터를 통해 배터리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해당 정보 제공차량 :20만원 지
그 외에 더 정확한 국고 보조금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홈페이지에서 국고 보조금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고 보조금
지자체 보조금
지자체 보조금은 국고 보조금과 별도로 지원되는 금액으로, 지역별로 보급 목표와 예산에 따라 달라지므로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2025년 기준 서울시의 전기차 보조금은 승용기준으로 60만원, 부산시는 280만원,경기도는 200~484만원으로 지원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지자체 보조금은 아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지자체 보조금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 및 절차
①전기차 구매 계약 체결
②보조금 신청서 제출 ( 구매자 또는 자동차 제작*수입사 → 지방자치단체 )
③서류 심사 및 승인 ( 지방자치단체 - 출고*등록순, 추첨, 접수순 중 택일)
④ 차량 출고 및 등록 ( 2개월 이내 원칙 )
⑤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신청 접수 ( 출고*등록 후 10일 이내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접수 )
⑥보조금 지급 ( 14일 이내 원칙)
지자체 보조금 문의처 및 지자체 차종별 보조금 조회
지자체별로 보조금과 차종별 보조금이 차등 지급되오니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지자체 문의처에 문의하시거나 홈페이지에서 차종별 보조금을 조회 후 지자체 보조금을 확인하셔서 빠른 시일 내에 신청하시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전기차 세금 및 기타 혜택 정리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제도
○할인율
'25년 40% → '26년 30% → '27년 20%
○ 할인방법
- 전기차 할인코드 하이패스 단말기 등록
- 하이패스 이용
( 기존 할인코드 등록한 차량은 신규등록 불필요 )
○ 할인코드 등록방법
내장형 단말기(룸미러형) : 한국도로공사 영업소 방문
외장형 단말기 : 한국도로공사 영업소 방문 또는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 직접 등록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
● 개소세 감면 : 300만원 한도 ( 교육세 90만원 추가 감면)
● 취득세 감면 : 140만원 한도
● 공채감면 : 250만원 한도 (지자체별 상이)
● 자동차세 : 승용 년 13만원, 상용 비영업용 년 28,500/ 영업용 년 6,600원
● 공영주차장 50% 할인
● 공공기관 주차 2부제 제외
● 지역특화 : 서울 - 남산터널 / 부산 - 광안대교 통행료 면제
'금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료 너무 비싸다구요? 몰랐던 자영업자 보험료 줄이는법 !! (0) | 2025.04.24 |
---|---|
자동차 보험료 환급금 조회&신청방법 – 숨은 돈 찾기 !! (0) | 2025.03.04 |
2025년 국민연금 인상 수령액 지급조회 &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제도 (0) | 2025.02.22 |
경차 유류세 환급 카드 발급방법, 경차 유류세 환급 제도 알아보기 (0) | 2025.02.21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3월1일자로 새 출시!!! (0) | 2025.02.20 |
자동차세 연납할인 신청방법 - 최대 10% 할인받는 법 (0) | 2025.02.19 |